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5

뇌출혈의 네 가지 대표 유형(ICH, SAH, SDH, EDH)에 대해 알아보자 🧠 1. 뇌내출혈 (Intracerebral Hemorrhage, ICH)🔸 병태생리만성 고혈압 등으로 인해 소동맥이 약해지면서 파열되면 뇌 실질(parenchyma) 내부로 혈액이 스며듭니다.이 혈액은 주변 뇌세포를 압박하며 괴사를 유발하고, 뇌부종을 일으킵니다.혈종의 크기가 커질수록 두개내압(ICP)이 상승하여 뇌탈출 위험이 높아지고, 사망률이 증가합니다.🔸 증상출혈 부위에 따라 다르지만, 대표적으로:운동피질: 편측 마비, 근력 저하언어중추(좌반구 브로카/베르니케): 실어증소뇌: 운동 실조, 어지럼, 보행 불안뇌간: 호흡불안정, 동공 이상, 혼수 (가장 위험)🔸 진단CT: 급성기에는 고음영 병변 확인MRI: 출혈 시점이 오래된 경우에 민감Coagulation profile: INR, PT, a.. 2025. 7. 3.
산증(Acidosis) / 알칼리증(Alkalosis)에 대해 알아보자 🧪 1. 산·염기 균형 기본 개념🔹 pH란?pH는 수소이온(H⁺) 농도를 나타냅니다.정상 혈액 pH: 7.35~7.457.35 미만 → 산증7.45 초과 → 알칼리증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매우 좁은 범위🔹 우리 몸은 pH 균형을 위해 어떻게 작동할까?화학적 완충체계: HCO₃⁻(중탄산염), 단백질, 인산호흡기계 보상: CO₂ 배출 조절 → 수 초~분 단위신장 보상: H⁺ 배출 & HCO₃⁻ 재흡수 → 수 시간~수 일 소요🧨 2. 산증(Acidosis)✅ 병태생리pH 💥 A. 대사성 산증 (Metabolic Acidosis)중탄산(HCO₃⁻) 농도가 감소하여 생김.원인:산 과다 생성:당뇨성 케톤산증(DKA)젖산산증 (저산소증, 쇼크, 패혈증 등)HCO₃⁻ 손실:심한 설사 (장액 내 중탄산 손실)산 .. 2025. 7. 2.
뇌혈관 조영술 ; TFCA (Trans-Femoral Cerebral Angiography) 완전 정리 🧠 뇌혈관 조영술 ; TFCA (Trans-Femoral Cerebral Angiography) 완전 정리1. ✅ 정의 및 목적📌 정의TFCA는 Trans-Femoral Cerebral Angiography 약자로,대퇴동맥을 통해 뇌혈관에 카테터를 삽입한 후 조영제를 주입해 뇌혈관 구조를 영상화하는 침습적 검사입니다.📌 목적뇌혈관 질환의 정밀 진단중재적 시술(Interventional procedure) 병행 가능다른 영상검사(MRI, CT angiography)보다 해상도가 높아 세부 혈관 병변 확인 가능2. 📋 적응증 (시술이 필요한 경우) 구분 세부 내용 뇌출혈 원인 규명지주막하출혈 시 동맥류 존재 여부 확인뇌혈관 협착 진단내경동맥 협착, 중대뇌동맥 협착 등뇌동맥류 평가위치, 크기, 모양 .. 2025. 7. 1.
혈액투석(Hemodialysis, HD) / 복막투석(Peritoneal Dialysis, PD)에 대해 알아보자 🩸 혈액투석 (Hemodialysis, HD)🔹 1. 원리혈액을 체외로 빼내어 인공투석막(다이알라이저)을 통해 노폐물(요소, 크레아티닌, 과잉 전해질, 수분 등)을 제거하고, 정화된 혈액을 몸에 다시 넣는 방식입니다.인공 신장기 역할을 하는 다이알라이저는 반투과성 막으로 구성되어, 혈액 내의 노폐물이 투석액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2. 혈관 통로동정맥루(AVF): 자신의 동맥과 정맥을 연결해 만든 통로, 6~8주 필요인공혈관(AVG): 인조 혈관을 삽입해 연결중심정맥 카테터(CVC): 응급 시 사용, 감염 위험 큼🔹 3. 시행 주기주 3회, 1회 3~5시간규칙적인 내원이 필요하며 지각 시 위험함🔹 4. 투석 중 주요 감시 사항저혈압, 근육경련, 두통, 오심, 흉통기계 감시: 투석기 압력, 혈류량.. 2025. 6. 30.
CRRT(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지속적 신대체요법)에 대해 알아보자 🔍 1. CRRT란?CRRT는 급성 신장 손상(AKI)이나 만성 신부전 말기 환자 중 특히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하는 지속적인 혈액 투석 치료입니다.보통 혈액투석(HD)은 3~4시간 동안 빠르게 체액과 노폐물을 제거하지만,CRRT는 24시간 이상 천천히, 연속적으로 제거하여 심장 부담을 줄이고, 혈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2. 원리CRRT는 인공적으로 신장의 여과·재흡수·분비 기능을 대체합니다.혈액을 정맥에서 빼냄필터(hemofilter)를 통해 노폐물, 전해질, 수분 등을 제거정화된 혈액을 환자에게 다시 투입보상성 수액 투입(replacement fluid)과 투석액(dialysate) 사용으로 전해질 및 산-염기 균형 조절🔄 3. CRRT의 주요 방식 (종류) .. 2025. 6. 29.
Whole Body Bone Scan (전신 뼈 스캔)은 무엇일까? 🧬 1. 검사의 원리: 뼈의 대사 활동을 시각화하는 핵의학 검사핵의학 검사란?방사성 동위원소가 부착된 약물(방사성 의약품)을 체내에 투여한 뒤,그 물질이 특정 조직에 모이는 양상을 감마카메라로 촬영해조직의 기능이나 대사 상태를 평가하는 검사입니다.사용하는 방사성 동위원소:Tc-99m MDP (테크네슘-99m 메틸렌 디포스포네이트)→ 뼈 조직과 결합해 **골 대사(뼈의 회전율)**가 활발한 부위에 축적됨.대사율이 높다는 뜻은?뼈가 치유되거나 손상되거나, 병에 의해 자극을 받는 부위는새로운 뼈를 만들기 위해 대사가 활발해집니다.그곳에 Tc-99m이 많이 모이기 때문에 이상이 있는 뼈 부위를 찾아낼 수 있습니다.🛠️ 2. 검사 절차① 방사성의약품 주사Tc-99m MDP를 정맥으로 주사합니다.② 약 2~4시.. 2025. 6. 28.
장기에 따른 SPECT 검사 🧠 1. 뇌 SPECT (Brain SPECT)💡 왜 하나요?뇌혈류 분포를 확인할 수 있어요.뇌의 특정 부위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어떤 질환에서 하나요?치매 감별 (알츠하이머 vs 혈관성 치매 등)파킨슨병이나 루이소체 치매 감별간질(뇌전증) 발작 부위 찾기우울증, 조현병 등 정신과 질환 감별뇌졸중 이후 회복 상태 평가💡 특징MRI는 구조를 보여주고,뇌 SPECT는 뇌가 얼마나 활동 중인지(기능)를 보여줍니다.💓 2. 심장 SPECT (Myocardial Perfusion SPECT)💡 왜 하나요?심장 근육에 혈액이 잘 공급되는지 확인해요.관상동맥 질환 진단에 아주 중요합니다.💡 어떤 질환에서 하나요?협심증, 심근경색 의심 시운동 중 가슴 통증, 숨참 증상이 있을 때심.. 2025. 6. 27.
SPECT검사는 뭘까요? 🧠 SPECT 검사란 무엇인가요?SPECT는 영어로👉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의 줄임말입니다.우리말로는 단일광자 방출 단층촬영술이라고 해요.조금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핵심은 “몸속 장기의 기능을 보는 특수한 검사”입니다.MRI나 CT가 장기의 모양을 보는 검사라면,SPECT는 장기의 움직임이나 기능,예를 들어 혈액이 잘 흐르고 있는지, 뇌가 잘 활동하는지 등을 확인합니다.🧪 어떻게 검사하나요?특수한 약물(방사성 동위원소)을 팔에 주사합니다.→ 이 약물은 몸속에서 미세한 감마선을 내보내는 성질이 있어요.이 약물은 혈관을 타고 몸속 특정 장기(심장, 뇌 등)로 갑니다.장기에서 나오는 감마선을 감마카메라가 촬영합니다.→ 여러 각도에서 촬영해 3차원(.. 2025. 6. 26.
UGI (Upper Gastrointestinal series, 상부위장관 조영술)에 대해 알아보자 🔍 UGI (Upper Gastrointestinal series, 상부위장관 조영술)UGI는 식도, 위, 십이지장 등 상부 위장관의 구조적 이상 및 기능적 이상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하는 X선 조영검사입니다.조영제(주로 바륨)를 경구로 투여한 뒤, X-ray를 통해 장기의 윤곽과 움직임을 관찰합니다.🧠 검사 목적 (Indications)목적세부 설명🔸 해부학적 이상 확인식도, 위, 십이지장의 모양, 위치, 협착, 궤양, 종양 여부 확인🔸 기능 이상 평가식도의 연동운동, 위의 배출 지연 또는 역류 등 운동성 문제 진단🔸 내시경 대체내시경이 어려운 환자 (노인, 협조 어려움 등)에서 사용 가능🔸 수술 전 평가위장관계 수술 전 병변 위치 및 범위 확인 🔄 검사 전 준비 (Preparation)금식.. 2025. 6. 25.